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

보조기억장치(4) CD-ROM의 회전 구동 방식은 등선속도 방식을 이용한다. 하드 디스크가 등각속도 방식을 사용하는 것과 구분된다. 등선속도 방식은 액세스할 섹터의 위치에 따라 디스크의 회전 속도가 달라지는 방식으로 트랙을 읽는 속도가 동일하다. 섹터의 위치에 상관없이 표면을 지나가는 헤드의 속도가 항상 일정하며, 트랙 전체의 저장 밀도가 균일하기 때문에 바깥쪽 트랙 부분의 저장 공간의 낭비가 없다. 데이터를 저장할 때는 트랙을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데이터를 액세스할 때는 임의 액세스 방식을 사용한다. 등선속도 방식의 액세스 방식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로 헤드를 액세스할 섹터 근처의 영역으로 이동한다. 두 번째로 회전 속도를 조정하여 섹터의 주소를 검사한다. 세 번째로 미세 조정을 통하여 원하는 .. 2022. 10. 2.
보조기억장치(3) RAID 레벨 2에서 오류 검출을 위해 패리티 비트가 저장되는 디스크의 수가 데이터가 저장되는 디스크의 log 값에 비례한다면, RAID 레벨 3에서는 1개의 패리티 비트가 저장되는 디스크가 사용된다. RAID 레벨 3에서도 병렬 액세스가 사용되며 데이터는 스트립으로 분산된다. 오류 정정 부호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디스크의 같은 위치에 있는 패리티 비트에 대해 계산되는 패리티 비트를 사용한다. 하나의 디스크에 오류가 발생하면 패리티 비트를 저장하고 있는 디스크가 액세스 되고 남아 있는 다른 데이터 정보를 사용해 결함이 발생한 데이터를 복구한다. 데이터의 복구는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오류가 발생한 모든 디스크는 대응되는 다른 스트립의 내용을 이용하여 재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데이터 오류에 .. 2022. 10. 2.
보조기억장치(2) 전송 시간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디스크 액세스 시간은 데이터의 저장 패턴에 따라 달라진다. 컴퓨터의 다른 장치와 마찬가지로 자기 디스크를 사용하는 기억장치도 여러 개의 기억장치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RAID란 가격이 저렴하고 크기가 작은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묶어 하나의 기억장치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보통 하드 디스크에서 RAID로 하드 디스크를 구성하면 운영체제에서는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를 하나의 하드 디스크로 인식한다. 따라서 하드 디스크에서 발생하는 근본적 문제를 여러 대의 하드 디스크가 분산 처리함으로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높은 입출력과 전송률을 얻기 위해 다수의 헤드와 구동 장치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장치의 수가 늘어나면 .. 2022. 10. 2.
보조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에 비해 용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대용량의 데이터를 읽거나 저장할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보조기억장치로는 자기 디스크를 사용하는 하드 디슼, 플로피 디스크, CD, DVD 등이 있으며, 현재는 기억장치 기술의 발달로 대용량의 flash 기억장치도 등장하고 있다. 주기억장치의 경우 메인보드에 슬롯이 따로 할당되어 있어 슬롯에 장착한다. 하지만 보조기억장치는 메인보드에서 케이블로 연결되기 때문에 메인보드 위에 위치하지 않고 메인보드 외부에 위치한다. 자기디스크는 자성을 띠는 물질로 코팅된 플라스틱이나 금속을 이용한 원형 평판으로 만들어진 저장장치이다. 하드 디스크 또는 플로피 디스크가 자기 디스크 기억장치 중 대표적인 장치이다. 하드 디스크는 컴퓨터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2022. 10. 2.